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반지하 주택 사라진다, 건축허가 불허

by travel1204 2022. 8. 11.
반응형

앞으로 서울시 지하, 반지하주택 주거용 사용 못한다

서울 위의 건물은 지하와 반지하의 경우 주거 용도로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이번 기록적인 폭우로 참담한 침수 피해와 인명 피해로 서울시가 안전대책을 발표한 것인데요.

 

한편 2020년 기준 서울 시내의 전체 가구의 5%가 지하와 반지하가 주거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행 건축법 11조는 상습적으로 침수되거나 침수가 우려되는 지역에 건축하려는 건축물의 지하층 등 일부 공간을 주거용으로 사용하거나 거실을 설치하는 것이 부적합하다고 인정되면 시 건축위원회 심의를 거쳐 허가를 내주지 않는 규정이 있습니다.

 

하지만 위의 조항이 시행된 이후에도 반지하 주택 4만호 이상이 건설된 것입니다. 이에 서울시는 상습적 침수 우려의 지역 외에도 지하층은 주거 용도로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제를 강화하기로 발표했습니다.

 

서울시는 이번 주 중으로 건축허가 시 지하, 반지하는 주거용으로 허가되지 않도록 각 자치구에 전달할 예정입니다.

 

반지하주택 일몰제 추진

또한 서울시는 반지하주택 일몰제를 추진합니다. 기존의 허가된 건축물에 10년에서 20년의 유예기간을 주고 순차적으로 주거용 지하, 반지하를 없애는 제도로 거주 중인 세입자가 나간 뒤 더이상 주거용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용도 전환을 유도하는 것입니다.

 

서울시는 건축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마련할 계획입니다.

 

세입자가 나간 후 빈 곳이 될 경우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의 '빈집 매입사업'이 매입해 주민 공동창고 또는 커뮤니티시설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됩니다.

 

반지하 위험단계 구분해 관리

또한 서울시는 현재 지하와 반지하 주택의 현황을 파악 후 전수조사를 벌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합니다. 위험단계를 1단계에서 3단계까지 구분하여 관리할 계획입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임시방편에 불가한 단기적 대안이 아닌 시민의 주거 안정 제공을 위해 근본적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반응형

댓글